*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 비율)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주가 * 주식수 (시가) / 당기순이익
: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가
_ PER가 높다는 것 (총 시가↑, 당기순이익↓) 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
_ PER이 낮다는 것 (당기순이익↑) 은 앞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
*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주식수
: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된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식시장의 패턴이 기업의 수익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면서 주당순이익의 크기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른바 블루칩으로 불리는 대형우량주의 주가가 고가이면서도 여전히 선호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주당순이익이 높은 데서 비롯된다. 주당순이익이 상승하고 있는 기업은 주로 신기술·신제품의 시장지배력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는 경우가 많다.
EPS
주당순이익.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된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terms.naver.com
* PBR
: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한 주가기준 중 하나
주당 순자산은 ‘(총자산-총부채)÷발행주식수’가 된다. 그러므로 주당순자산비율(PBR)은 ‘주가÷주당순자산’이 되고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력이 높다는 말이다. PER이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인 데 비해 PBR은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다.
PBR
PBR (Price Book-value Ratio)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 혹은 낮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도 한다. PBR이 1보다
terms.naver.com
'어제보다 1% 더노력하기 >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e경제 신문 읽기 24.01.07 (0) | 2025.01.08 |
---|---|
ETP, ETN, ETF, IPO, UAM, VI 발동 (3) | 2024.12.30 |
매일e경제 신문 읽기 24.12.16 (1) | 2024.12.17 |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메모, 윤재수 지음, 길벗 출판 (3) | 2024.12.16 |
매일e경제 신문 읽기 24.11.12 (1)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