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국생활 In the UK/일기 Diary

영국일기, 런던은 물가가 비싸지 않아요?

반응형

 영국으로 살러 간다고 했을 때, 영국에서 살고 있다고 했을 때,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이 '물가'에 대한 질문이다.

 

 간단히 답하면, 비싸다. 먹는 것도, 자는 것도, 비싸다. 의식주에서 이미 두 가지를 언급했다. 다만, 직접 요리를 해 먹으면 마트 물가는 한국과 비슷해서 식비를 줄일 수 있고, 숙박이나 렌트는... 아무리 생각해도 비슷한 조건에서 영국이 터무니없이 비싸긴 하다. 옷이나 물건은 그 나름. 자라나 H&M, 유니클로 등은 한국과 비슷하고, 장인들이 만드는 개인 브랜드는 비싸다. 이건 셋 값도 한몫하는 듯.

 

 한국과 비교를 한다면, 모든 것이 두 배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숙박비. 강남 한복판의 오피스텔 혹은 원룸 월세는 대략 100~120만 원쯤 하는 듯한데, 런던 시내의 월세는 약 1,000 파운드에서 시작한다. 한화로는 180만 원 정도다. 물론 다른 사람들과 거실과 부엌 및 화장실을 공유하는 셰어하우스라는 점을 감안하면 혼자 쓰는 방은 가격이 더 올라간다. '전세'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며, 보증금이 적다는 것이 장점이라면 장점이다. (월세 보증금은 1~2달 치 월세다.)

 그리고 식비. 한국에서 요즘 한 끼 식사를 하는 데 15,000원에서 20,000원 정도라고 하면, 영국은 한 끼 식사에 적어도 20 파운드, 25 파운드쯤 예상해야 한다. 한화로는 약 35,000원에서 40,000원이다. 물론 샌드위치나 패스트푸드를 먹으면 10파운드 대로 먹을 수 있긴 하다. 오히려 미슐랭 3 스타는 170 파운드, 약 30만 원으로, 한국의 미슐랭 3 스타인 레스토랑과 비슷하게 느껴질 정도다.

 

 하지만 반전(?)은 최저 시급도 두 배라는 것. 2025년 4월부터 최저 시급이 12.21 파운드로 올라서 한화로 약 2만 원이 조금 넘는다. 최저시급이 10,030원인 우리나라의 두 배다. 두 배를 벌어서 두 배를 쓴다. 그래서 생활은 비슷하다. 마트 물가는 낮아서 직접 요리를 해서 식사를 해결하면 생활비를 많이 아낄 수 있다. 생필품은 이미 렌트한 집에 다 있고 (이불까지도!), 그리고 언제 떠날지 모른다고 생각하니 옷이나 물건도 많이 구매하지 않는다. 하루의 날씨는 변화무쌍하지만, 계절의 변화는 우리나라보다 다이내믹한 게 덜 해서 옷 종류가 적어도 되고, 사람들이 패션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아서 깔끔한 기본 디자인으로 입고 다녀 의류비도 적게 든다.

 

 결론은 여기서 벌어서 여기서 살면, 살 만하다. 물가가 낮은 나라도 마찬가지일 거다. 거기서 벌어서 거기서 살기에 적당한 정도일거다.

반응형